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카렌족의 나라 꼬뚤레
    PEOPLE/세상을 보는시각 2021. 5. 13. 17:31

    카렌족이 꼬뚤레라는 나라를 갖고 있다는 것은 카렌에 관심이 지대한사람이 아니면 알수 없다.카렌을 알면 바마족과 소수민족의 관겨를 알수있고 총격과 폭격으로 대하는 버마반란군부의 대응을 이해 할 수있다.

    불과 30년전만해도 공식적인 수도와 국토를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면 지금 우리가 미얀마라고 부르는 버마와 카렌의 관겨를 알수있다.
    버마족과 카런족과의 관계는 북족 샨주의 따이야이족 또한 동일하다.

    고무라의 꼬뚤레 간판
    카렌공화국 창건기념일행사


    아래는카렌족에 대하여 오랫동안 연구한 연세대 이상국 교수의 카렌의 국가 꼬뚤레에 대한 자료일부이다.


    이상국 박사 카렌국가 코뚤레

    독립적인 카렌 州를 세우기 위하여 소바우지(Saw Ba U Gyi)를 리더로 하는 정치 조직인 KNU를 1947년 2월에 설립했다(Lintner, 1994: 8-9). KNU는 독립카렌 州 설립에 대한 그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1949년 1월 군사 반란운동을 전개했다. 1949년 6월에 KNU는 기쁘고, 풍요롭고, 평화로운 나라라는 뜻을 가진 ‘꼬뚤레’(Kawthoolei)라는 이름으로 카렌족 자치국이 설립되었음을 세계에 선포했다(Smith, 1994: 44). 비록 반란운동 초기에 혁혁한 성과를 거두며 승리를 거의 눈앞에 두었지만, 점차 점령지를 잃어가며 결국에는 태국 인근의 국경 지역으로 쫓기는 상황을 맞이했다. 그러나 1980년대 말까지 KNU는 거대한 규모의 ‘해방구’를 400마일에 이르는 국경을 따라 세우고, 거기에 학교, 병원, 여타 행정기구들을 설립하며 유사 국가 체제를 운영했다. 더욱이 KNU 영토 내에서 거대하게 운영되었던 블랙마켓과 국경무역에서 거두어들인 세금으로 KNU는 재정적인 안정을 구가했으며 여러 종류의 무기를 구입하여 군사력을 증진시켰다.

    앞에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계절적으로 미얀마 정부는 건기에 KNU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고 우기에 물러서는 형태의 전투를 전개했었다. 이에 따라 건기와 우기에 걸쳐 카렌 州와 태국을 오가는 카렌족들의 계절적인 이주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이 이르자 미얀마 군의 공격 패턴이 바뀌기 시작했다. 1984년 건기에 이루어진 미얀마 군의 공격으로 1만여 명의 카렌족들이 피난처를 찾아 태국으로 넘어왔지만, 미얀마 군은 그 점령지에서 우기에도 계속 주둔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태국 땅에 난민으로 그대로 눌러 앉게 된 것이다(TBBC, 2005: 54). 이후 10년 동안 건기 때 이루어지는 미얀마 군의 공격은 강도를 더해갔고, KNU의 주요 근거지를 압박하며 그들의 물자 보급로를 차단해 나갔다. 그 결과 1994년에 이르러서는 카렌족 난민의 숫자가 8만 명으로까지 증가했다(TBBC, 2005: 54).

    카렌족 반란운동의 역사에서 1995년은 가장 극적인 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그해 1월 27일 마침내 오랜 세월 동안 KNU뿐만 아니라 여타 반정부 세력들의 활동에 있어서도 수도와도 같은 역할을 했었던 마네플로 (Manerplaw)가 미얀마 군의 손에 넘어갔고, 2월 8일에는 난공불락의 핵심 요 새였던 고무라(Kawmoora) 역시 미얀마 군의 수중에 들어갔다.


    KNU가 주요 요새를 잃게 된 요인으로 내부 분열을 들 수 있는데, 기독교도 중심의 KNU의 리더십에 불만을 품은 일부의 불교도 카렌족이 ‘민주불교카렌연합’ (Democratic Karen Burma Association)을 조직하고, 미얀마 정부군에 협력하여 KNU의 주요 근거지를 함락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이로 인해 미얀마 정부는 독립 이후 처음으로 태국 쪽의 매솟(Mae Sot)과 미얀마 쪽의 미야워디(Myawady)의 주변의 국경 통과지역을 손아귀에 넣게 되었다(Lintner, 1995: 72).

    계속되는 미얀마 군대의 거침없는 공격에 수많은 카렌족들이 목숨을 잃었으며 살아남은 자들은 난민이 되어 태국으로 넘어왔다. 이 이후에 대부분의 근거지를 빼앗긴 KNU는 게릴라식 전투 방식으로 전략을 전환했다. 카렌 州에 남아 있는 카렌족들은 정부의 국경 개발 정책과 반란운동 세력과의 연계를 막기 위한 재이주 정책의 시행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내부 난민(Internally Displaced People)이 되거나 새로운 삶을 찾아 계속적으로 태국으로 넘어오고 있다.

    이하 중략.

    독립을 선언한 카렌족 꼬뚤레의 영토 미얀먀동부 태국국경 산악에 국가를 갖고 선퐁하고 50년을 유지하였다.


    원래 미얀마의 이름은 버마였다. 버마족이 나라라는 뜻이다.군부가 소수민족까지 포함하여 미얀마라는 이름을 붙었다.

    영국식민지 이전 버마는 중앙의 바마지역과 북부 지금의 샨조의 따이야이국이 있었고 남쪽에는 양곤이남 이라와디 델타부타 최남단 따이야이도까지 떼나세림국이 있었다. 그리고 주변으로 몬족의 부족국가 리수족 국가등 전근대적 부족국가형태로 존재하였다.


    위키피디아. 빨간부분이 카렌족 거주지역이고 KNU관할지역이다.북부 초록색이 따이야이족의 따이야이 이다.샨스테이트 이다.


    떼나세림 대부분에 존재했던 카렌족은 양곤 남부 빠떼인을 중심으뢰이라와디 델타부터
    태국라농 건너편 꺼퉁까지 8개의 지역으로 나누고 이라와디 델타를 제외한 7개 지역에 군대를 배치하였다.KNLA1부터 7여단까지 이다.

    영국이 이차대전후 버마를 독립시키며 카런과 따이야이를 독립시키지 않고 버마에 포함을 하고 아웅산장군이 항일투쟁시 약속했던 종족자치의 원칙을 깨며 80년 독립전쟁이 지속되어 온것이다.

    1980년초반 정부군의 무자비한 공격으로 태국 맬라로 피난온 사람들이 산위에 움막을 짓고 살다가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난민촌의 시초가 되었다.
    1995년 정부군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KNLA5지역의 꼬뚤레의 수도 마네풀로가 함락되고 그때 피난온 피난민으로 지금의 맬라캠프가 완성이 되었다.

    지금의 군붘쿠데타에서 버마족에게는 민주화 운동이고 소수민족에게는 전쟁인 이유이다.

    버마인과 소수민족의 관계는 태국인과 버마인롸 같다.타국인의 버마인에 대한 인식은 하류층의 근본없는 으로 표현을 할수 있는데 이는 태국내 오백만명에 달하는 매반 공장노동자 불법근로자들에 기인한다.
    이 인식은 그대로 버마인의 카렌사람에 대한 인식과 일치한다.

    한국내에서도 카렌사람과 버마사람의 공동체가 나뉜 이유이다.

    카렌의 나라 꼬뚤레 회복에 대한 꿈은 카렌족 지상의 과제이다.물론 카렌족에게서
    주전파 급진 독립파는 이번 기회에 바마족과 연합하여 정부군 따마도를 공격하여 독립을 획득하자이다.협상파는 희생을 줄이기 위해 군부와 충분히 협상을 한고 그래도 안되면 전쟁을 하자이다.

    KNLA의 전쟁에 임하는 자세는 마지막 한명이 남을때까지 이다. 버마시위대는 발이 되면 돌아갈 집이 있지만 전쟁을 하는 소수민족은 밤이나 낮이나 밀림에 있어야 하고 헬기소리 제트기 소리에 아이들의 귀를 막고 숨을곳을 찾아야 한다.

    버마족의 민주화운동에 소수민족의 독립투쟁을 포함시키는 것은 대단히 큰 인식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중앙정부 양곤 만다레이등 즉 버마족 경험이 대부분이고 역사 연구 역시 버마족 중심의 연구이다. 쉽게 카렌을 버마 군부가 개명한 미얀마라는 범주로 몰며 카렌독립투쟁을 미얀마 민주화투쟁의 일부로 포함시키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위키자료. 19세기지도

    19세기 지도에 북쪽은 Tai Yai가 있고 남쪽에는 Tenasserim이라고 써있다.


    따이야이국의 위키 역사링크
    https://en.m.wikipedia.org/wiki/Kengtung_State

    Kengtung State - Wikipedia

    Early kingdomsEdit According to local tradition, Khemāraṭṭha[4] (ခေမာရဋ္ဌ), the predecessor state, was founded in an unknown date in the distant past. It was ruled by the Tai Khün of the Tai Yai (Shan) ethnic background. The current d

    en.m.wikipedia.org


Designed by Tistory.